지식
[스크랩] 식초콩
지나간날의기억
2006. 3. 11. 17:06
식초콩
만드는 방법
(1)검정콩을 깨끗한 물에 헹군 다음 물기를 제거 합니다. 이때 빠른 시간 안에 콩을 헹구고 물기를 제거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콩이 물어 불어 금방 쭈글쭈글해 집니다.
(2)준비된 병에 콩을 먼저 담은 다음 식초를 붓습니다. 콩과 식초의 비율은 1 : 3 정도가 적당하며 준비된 병에 콩을 너무 많이 담지를 말아야 합니다. 콩을 너무 많이 담으면 나중에 콩이 많이 불기 때문에 넘칠 우려가 있습니다.
(3)식초 위로 떠오른 콩은 건져낸 다음 뚜껑을 닫고 냉장고에 일주일 정도 보관합니다. 보관할 때는 뚜껑을 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뚜껑을 중간에 열면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가 되므로 중간에는 절대 열지 마시기 바랍니다.
(4)일주일 후 식초와 콩을 체에 내려 따로따로 분리시킵니다.
산도가 높은 식초는 위 벽을 헐게하므로 반드시 콩을 체에 받혀 초콩만을 먹도록 합니다.
(5)걸러낸 콩을 병에 담아두고 식사 뒤 5 - 10 알씩 꼭꼭 씹어먹습니다.
걸러진 식초는 잘 보관해 다른 음식준비에 이용하면 좋습니다.
식초콩의 효능
(1)숙변제거 및 다이어트식 - 신진대사촉진,노폐물을 원활히 배설시킴으로서 지방을제거하고 장의 운동을 활발히 하여줌.
(2)체질개선식 - 산성을 알카리성으로 바꿔 줌으로서 피로회복 및 숙취해소
(3)탈모예방
식초콩 먹는 법
식초콩을 매일 식사 뒤 30분이 지난 다음 5 - 10 알씩 먹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요구르트 한두 병과 식초콩을 함께 갈아서 마시면 먹기가 훨씬 수월하고 변비 예방에 효과가 좋습니다.
식초콩을 드실때 역겨우더라도 물에 씻으면 안되며 역겨워 드시기 어려우신분께서는 약한 불에서 살짝 볶은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너무 센불에 오래 볶으면 콩에 식초가 베지 않고 딱딱해져 효과가 떨어 집니다.
참고사항
(1)식초의 주성분은 초산으로 이것은 초산균의 작용에 의해 에탄올로부터 만들어 집니다. 식초에는 이외에도 많은 유기산이 들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총산을 초산으로 나타내 대체로 곡물식초는 4.2% 이상, 과실식초는 4.5% 이상 입니다.
(2)식초의 열량은 100g 당 18kcal이다.
주의사항
(1)너무 농도가 진한 식초는 위장 점막에 상처를 줄 수 있습니다.
(2)참조로 시중에 많은 식초콩 제품이 나와있습니다. 어떤것은 방부제가 들어 있는것도 있으니 확인후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3)위산과다인 사람은 공복에 식초를 먹지 않는 것이 좋고 위궤양을 앓는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관절염인 사람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초콩의 소개는 영어의 기본서 삼위일체의 저자 안현필교수에 의해 많이 소개되었다. 요즘 식초콩이 다이어트법으로 인기를 끌기 시작한 이유는 바로 이재룡 덕이다. 유호정과의 고소한 신혼생활을 하다보니 결혼 이후 체중이 부쩍 늘어난 것! 자꾸만 나오는 배에 어쩔 줄 몰라하고 있는 이재룡을 보고 천사 같은 아내 유호정이 가만 있을 리 없지. 유호정은 언젠가 들은 적이 있는 식초콩 다이어트법을 이재룡에게 권했다. 그래서 바쁜 스케줄 중에도 검정콩을 사다 식초에 담가 식초콩을 만들어 주었다. 식사를 한 후 식초콩 열 알 정도를 꼭꼭 씹어먹었다. 하지만 식초의 시큼한 냄새와 날콩의 비릿한 맛 때문에 먹기가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래도 꼬박꼬박 식초콩을 먹은 것은 유호정의 애정 때문이라고. 그렇게 해서 두 달 사이에 체중이 7kg이나 줄었다
출처 : 02의 플래닛
글쓴이 : 바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