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뇌졸증 식이요법
지나간날의기억
2005. 7. 23. 16:13
: 뇌졸중 환자의 식이요법은 치료가 아니고 뇌졸중의 위험요인을 감소하기 위한 예방목적으로 실시한다. 급성증상이 지나고 퇴원을 하게 되면 철저한 식이요법을 통해 재발을 방지해야 한다 염분은 10 g 이하로 제한하고, 포화지방산인 동물성 지방을 적극 삼가해야 하지만 불포화 지방산인 식물성 기름은 비만증이 없는 한 괜찮다. 단백질 섭취원으로는 기름기 적은 소고기, 닭고기, 흰빛의 생선고기, 콩, 두부 등이 좋다. 비만증에서는 체중 1kg 당 25∼30 kcal 로 칼로리를 제한한다.
* 환자 식이교육 자료
1. 염분섭취를 제한한다
: 동맥경화의 주된 요인인 고혈압을 억제하기 위해 염분을 하루에 10g 이하로 제한한다. 음식 조리시 에 간을 전체적으로 싱겁게 하고, 국 종류와 김치류를 거의 먹지 않는다.
2. 콜레스테롤이 많은 달걀과 지방식을 피한다.
3. 설탕이 함유된 음료수, 커피에 넣는 설탕 사용은 되도록 삼간다.
4. 밥을 많이 먹으면 탄수화물 섭취가 많아져서 열량이 높아지고, 결국 운동부족에 의한 중성지방 축정이 일어나므로 소식을 해야 한다.
5. 육류로부터 얻는 단백질의 섭취를 금하고 단백질은 콩제품으로 섭취한다.
6. 식물성 기름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으므로 식물성 기름을 하루 1숟갈씩 섭취 한다.
7. 오래되지 않은 씨앗, 견과류를 많이 먹는다.
8. 육류, 소금, 설탕, 흰밀가루, 정제가공식품 등은 피한다.
9. 레몬, 파인애플, 푸른잎 야채, 포도 생즙이 도움이 된다.
10. 육류의 기름기, 버터 등 동물성 지방 섭취량의 증가 가 동맥경화의 유발원인이 되므로, 평소 육류나, 기름기 있는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은 지방의 과섭취를 삼가한다.
11. 동맥경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려면 타우린을 다량 함유한 어류섭취를 늘리도록 한다. 타우린이 다량 함유된 어류에는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높기는 하지만 타우린이 콜레스테롤을 분해, 배설시켜 감소시킨다.
12. 마비된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콘드로이틴 성분이 많이 함유된 수육부위를 섭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