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해양자연사 박물관

지나간날의기억 2006. 3. 11. 17:24

 

위    치 : 부산 동래구 온천동 산 13-1 
전    화 : 051-553-4944~5
팩    스 : 051-554-1552
홈페이지 : www.seaworld.busan.kr 
설 립 자 : 부산광역시
운 영 자 : 부산광역시
개    요 : 부산광역시립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의 일환으로 전국적인 전시관, 
           과학관, 박물관 등 과학.문화시설이 확충되는 추세와 발맞추어 학생, 자녀들과 함께 시설
           물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코자 설립되었다.
           자연사란 동.식물뿐만 아니라 지질, 광물, 기후 등 자연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것과 인류
           와 우주에 관한 역사를 말하며, 자연사박물관은 이들을 체계적으로 전시, 교육하고 자연
           사를 연구하는 기관이다.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은 이러한 자연사분야 중에서도 해양.수산분야를 좀더 적극적이고 
           전문적으로 다루는 해양자연사 전문박물관이다.』
설립배경 : ▷ 국제적 해양도시 부산의 지역특성에 맞는 해양과학 탐구공간 조성
           ▷ 21C 해양시대에 대비, 해양산업의 중요성 인식제고 및 산교육장 제공
           ▷ 국내 및 세계 각 국의 해양자연사전시품 확보로 국가적 해양자연사 자료로 영구활용
           ▷ 해양과학 자료의 집단화, 정보화, 기지화를 통한 과학기술문화 창달도모
역할 및 목표 : ▷ 연구기능 : 표본들의 지속적인 확보.유지 및 분류.보전 활동
               ▷ 전시기능 : 일반 관람객에 박물관 소장표본 전시를 통한 박 물관의 기본적인 역할
                             수행 
               ▷ 도서관의 역할 : 다양한 생물들의 생활사를 연구할 수 있도록 보조
               ▷ 교육 기능 : 일반인 및 학생들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

전시실안내 : * 종합전시관 : 산호류관, 가오리관, 물새류.해수류관, 대형어류관, 해양생물공예품관, 
                            두족류관, 극피류관, 상어류관, 파충류관, 한국산 패류 및 화석류관 등
                            각종 해양생물들을 분류군에 따라 구분 전시             
             * 열대생물탐구관 : 열대의 파충류를 살아 있는 그대로 전시
             * 화석관 : 지질시대의 설명과 주요 화석류의 전시
             * 한국수계자원관 : 한국의 주요 해양생물들을 서식수역(담수, 기수, 해수) 및 서식환
                                경을 보여주는 디오라마 형태로 전시
             * 패류관 : 전세계의 다양한 패류들을 연안국 설명과 함께 전시
             * 시각 장애인관 : 시각장애인이 직접 손으로 만지면서 체험할 수 있는 체험 전시실
종합전시관 (노랑가오리)열대생물탐구관 <며느리발톱거북>
화석관 <암모나이트>수계자원관 <개복치>
패류관 <트럼펫고둥>
오픈시간 : 09:00 ~ 18:00 휴 관 일 : 1월 1일, 매주 월요일 이 용 료 : 구 분 개 인 단 체 비 고 --------------------------------------- 어 른 / 2,500원 / 1,500원 20세이상 청소년 / 1,500원 / 800원 13-19세이하 어린이 / 600원 / 300원 유치원생 ~12세이하 --------------------------------------- *단체는 20인 이상이 동시에 입장하는 일행 교통안내 : 지하철 1호선 온천장역 하차후 금강공원방향 도보 15분 <약도보기>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국장  (0) 2006.04.10
효과적으로 야단치는 법  (0) 2006.03.28
화학용어  (0) 2006.03.10
음식의 궁합...같이 하면 좋지않은 것들  (0) 2006.02.04
순 우리말  (0) 2005.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