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와 촌락 |
1. 도시와 촌락의
차이점
2. 도시 생활의 특징
3. 촌락 생활의 특징
(7) 농사짓는 사람이 많다. |
![]() |
1. 도시가 발달한 땅 모양의 일반적인 특징
2. 평야 지역에 발달한 도시들
3. 해안 지역에 발달한 도시들-인천 광역시와 부산
광역시, 울산 광역시
4. 현대의 도시의 발달
|
![]() |
1. 도시의
특징
촌락의 문제점
(1) 교육 문제 - 좋은 학교를 찾아 젊은 사람들이 떠나면서 촌락에는 학교에 다닐 어린이들이 적어 문을 닫는 학교가 늘고 있다. - 촌락에 남은 아이들은 마을 주변의 학교가 문을 닫자 멀리 떨어진 학교에 가기 위해 아침 일찍 일어나 차를 타고 가거나 학교 주변에서 부모와 떨어져 생활해야 한다. (2) 일손 문제 -젊은이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떠나자 촌락에는 농사일이나 고기잡이 등을 할 수 있는 일손이 부족해졌다. (3) 생활 환경 문제 -촌락에는 도시처럼 다양한 의료-문화-교통 시설이 부족하여 생활하기에 불편한 점이 많다. (4) 환경 오염 문제 - 생산량 증가를 위해 농약이나 화학 비료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해 토양이 오염되었다. - 축산 폐수로 인해 수질 및 토양이 오염되었다. - 오염된 땅에서 생산된 생산물은 인체에 흡수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시킨다. (5) 노인 문제 - 혼자 살거나 가족들과 떨어져 살아 소외감을 느끼는 노인들이 많다. - 고된 농사일에 지친 노인들이 의료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2 촌락 문제의 해결 방안 (1) 대안 학교 세우기 - 대안 학교란 보통의 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여러 가지(기술, 농업, 예술, 발명 등)를 가르치 는 학교를 말한다. - 대안 학교를 세워 교육 환경을 개선시키면 도시나 다른 고장에서 자녀를 교육시키기 위해 사람들이 촌락으로 모여들게 될 것이다. (2) 폐광 지역 개발 사업 -기본적인 시설과 도시 환경을 정비하고 국제적인 골프장이나 스키장 등의 관광 시설이 들어서게 한다. (3) 출산 장려금의 지급 -인구 증가를 위해 아이를 낳을 경우 출산 장려금을 지급한다. (4) 농, 공 복합 단지의 조성 -국토의 균형 있는 개발과 인구의 분산을 유도하기 위해 농-공 복합 단지를 조성한다. (5) 두레 마을 - 두레 마을이란 생산과 소비를 함께 하는 마을을 의미한다. - 서로 도와 가며 일을 하게 되어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6) 새로운 농사법의 개발 -농업 소득이 상업이나 공업 소득보다 높아질 수 있도록 새로운 농사법이나 농작물 재배법을 소개한다. (7) 무상 교육 실시 -촌락 지역 학교의 교육 시설을 개선하고 학비를 받지 않는 무상 교육을 실시한다. 농촌사진 |
도시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