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공전기

지나간날의기억 2009. 10. 30. 15:47

 

이 암울한 시대에 던지는 빛나는 수작
이 작품 속에서 웃고, 분노하고, 슬퍼하고, 즐거워하는 석도명은 단지 무협에서나 볼 수 있는 괴팍한 인간이 아닙니다. 때로는 평범하고 때로는 비범한 그의 삶은, 생활 속에서 마주치게 되는 나, 혹은 당신의 모습과 지나치게 닮아 있습니다.
도움의 손길을 찾아 거리를 배회하던 소년은, 떳떳해진 자신을 보여주기 위해 사춘각을 찾아가는 청년 악공은, 폭력에 굴하지 않기 위해 쉴 틈 없이 자신을 단련하는 석도명은, 어쩌면 우리가 못 이루어낸 꿈을 대신해서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악공전기』가 얼마나 뛰어난 작품인지는 읽어 보시면 알게 될 것입니다.
-빈들 조진행의 ‘추천사’ 중에서

어둠 속에서 열리는 새로운 세상
살다보면 누구에게나 선의(善意)가 왜곡되어 타인에게 상처를 주는 경우가 있다. 그것이 가장 가까운 사람일 경우엔 평생을 그늘지게 한다. 어린 석도명이 그랬다. 물고기를 잡아 푼푼이 모은 돈으로 아름다운 누이에게 단지 나비 모양의 장신구를 선물해 주고 싶었던 석도명은, 누이를 돈에 팔았다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화월촌을 쫓겨나게 된다.
산속에 쓰러져 죽어가는 석도명을 구한 것은 식음가의 마지막 장손 유일소다. 그들은 이후 사제의 연을 맺지만, 진정한 음악을 찾기 위해 스스로의 눈을 찌르고 광인처럼 살아왔던 유일소의 수련법은 매번 석도명을 공포에 떨게 한다. 유일소가 평생을 익힌 주악천인경은 두 눈을 파낸 다음에야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차마 멀쩡한 제 눈을 파낼 수 없었던 석도명은 사부에게 애원을 하여 검은 안대를 차고 눈뜬장님으로 살아간다. 그렇게 눈 대신 소리로 세상을 바라보기를 10년. 마침내 어둠 속에서 나를 찾아가는 ‘암중수심(暗中守心)’을 터득한 석도명에게 어느 날 유일소는 놀라운 명을 내린다.
사부를 대신해 10년 만에 검은 안대를 풀고 반백제가 열리는 무림맹을 찾아가는 석도명. 사마세가가 대회를 주관하는 날, 무림 문파간의 알력에 휘말리며 무대에 오르게 되는데…….

▶책 속으로

그때 다시 석도명의 음성이 들렸다.
“이 소중한 음악이 전부 어디로 갔습니까? 누가 세상에서 음악을 앗아갔습니까?”
음악에 아니, 세상의 소리에 취해 있던 사람들이 일제히 눈을 떴다.
여전히 한치 앞도 볼 수 없는 짙은 안개 속이었다.
그런데 뭔가 이상했다.
안개가 짙어지다 못해 검은 색으로 물들고 있었다.
주변을 채우고 있던 세상의 소리가 갑자기 기묘하게 뒤틀리기 시작했다. 사방은 여전히 온갖 소음으로 가득했지만 그 안에 들어 있던 조화와 평화는 산산이 부서진 상태였다.
비명과 신음, 울부짖음.
분노하고 절망한 목소리가 파도처럼 거칠게 사람들을 휩쓸어갔다.
사람들은 이곳이 황궁이라는 사실을 까맣게 잊었다. 사람들이 서 있는 곳은 증오와 살기가 가득한 싸움터요, 광란의 현장이었다.
여인들이 두려움에 떨며 울부짖고, 사내들은 고통 속에서 죽어갔다. 어미는 자식을 잃은 슬픔에 가슴을 쥐어뜯으며 울었고, 아비는 귀한 아들의 시신을 묻기 위해 눈물을 흘리며 땅을 팠다.
그 아비규환 속에서 누구도 버티고 서 있지 못했다. 사람들이 하나둘 무릎을 꿇고 주저앉았다.
그러나 지독한 소음은 더욱 짙어졌다. 이제는 듣는 것과 느끼는 것조차 구분되지 않았다.
누군가가 당장이라도 내 가슴을 칼을 꽂을 것 같은 지독한 살기와 공포가 밀려들었다. 내 자식의 시신을 거두는 것처럼 가슴이 쓰라렸다.
“크흑, 제발…….”
“그만……, 이제 그만!”
“잘못했습니다.”
여기저기서 힘겨운 애원이 쏟아졌다.
아주 먼 곳에서 서늘한 음성이 들려왔다.
“그대들이 세상에 슬픔을 채우면, 그 슬픔이 언젠가는 그대들과 그대들의 식솔을 남김없이 삼킬 것이오.”

-본문 중에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소화  (0) 2009.12.03
무당신선  (0) 2009.11.13
'천사혈성'  (0) 2009.10.20
태룡전 "중"  (0) 2009.10.08
브레이킹 던 "상"  (0) 2009.09.28